포트폴리오/it개념들(이슈도 포함)
정적 타입 언어 vs 동적 타입 언어
sw개발자
2021. 8. 5. 16:04
- 타입이란?
- 정적 타입 언어
- 동적 타입 언어
- 정적 타입 언어 vs 동적 타입 언어(참고로 Javascript는 동적 타입 언어이다)
- 번외: typescript가 인기가 많아지는 이유
위에 사진에 보듯 동적 타입vs 정적타입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나누는 기준이 된다.
프로그래밍언어의 중요한 특징이니깐 구분이될텐데 과연 이게 구체적으로 뭔지 알아보자
우선 타입이란 무엇일까?
1. 타입
- 컴퓨터 메모리에는 비트의 패턴이 저장된다. 이것이 무엇을 의미할지는 순전히 어떻게 쓰여질지에 따라 달려있다.
이렇게 어떻게 쓰일지를 결정하는게 바로 데이터 타입이다.
Data Type
|
<간략한 데이터 타입 예시>
|
2.
타입종류 | 정적타입 언어 (Static Typed Language) | 동적타입 언어 (Dynamic Typed Language) |
설명 | 자료형이 컴파일 타임에 결정되기 위해서, 소스코드 작성 시 명시적으로 자료형을 지정해주어야 한다. | 동적타입 언어는 런타임 시 자료형이 결정되는 언어를 의미한다. 그래서 소스코드 작성 시 자료형을 명시적으로 지정해줄 필요가 없다 |
장점 | 안정성이 높다 실행속도가 빠르다. | 유연성이 높고, 코드 작성이 효율적 |
단점 | 유연함이 떨어진다. | 타입에 대한 리스크(+ 스펠링에러)를 런타임에 감당해야한다. |
프로그래밍언어종류 | C, C++, Java, C# | Python, JavaScript, Ruby |
+ typescript가 인기가 많아지는 이유
정적타입언어의 장점에서 들어난다. 요즘, 웹의 규모가 커지며, 복잡하기에 타입에 대한 리스크를 감당하기 힘들어 졌다. 근데 정정타입언어는 이를 해결해줄 수 있기에 js를 동적 타입언어에서 정적타입언어로 바꿀 수 없을까? 고민 끝에 나온 것이 typescript이다. |
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
추가로 js type에 대해 알고 싶으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.
http://tcpschool.com/javascript/js_datatype_basic
코딩교육 티씨피스쿨
4차산업혁명, 코딩교육, 소프트웨어교육, 코딩기초, SW코딩,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
tcpschool.com
출처:
https://media.vlpt.us/images/ggob_2/post/162f7362-ee80-445a-babb-156b3b10359b/TS%20vs%20JS.png